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경허선사 참선 노래
- 大父母恩重經
- 修心赋
- 목련경
- 천수경
- 잡아함경 제3권
- 능엄경
- 잡아함경
- 공덕경
-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
- 아침종송(鍾頌)
- 신발을 잃어버리는 꿈
- 잡아함경2권
- 보문품
- 극락세계 발원문
- 신묘장구대다라니
- 관세음보살보문품(원문)
- 무지경
- 법구경
- 의상대사
- 觀世音普薩普門品
- 금강경강화
- 정사유경
- 般若心經
- 한글천수경
- 우리말천수경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관음경
- 법성게
- 무상경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3)
Dreams to Days
묘법연화경 제 1장 서 품(序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왕사성(라자그리하)의 기사굴산에서 1천 2 백 명의 비구들과 함께 계셨다. 그 비구들은 모두 아라한으로 더러움과 번뇌를 끊었으며, 모든 결박에서 벗어났으며, 지혜롭 고 자유자재한 마음을 얻은 이들이었다. 그들의 이름은 아야교진여, 마하가섭, 우루빈나가섭, 가야가 섭, 나제가섭, 사리불, 대목건련, 마하가전연, 아니루타, 겁빈 나, 교범파제, 이파다, 필릉가바차, 박구라, 마하구치라, 난 타, 손타라난타, 부루나미다라니자, 수보리, 아난, 라후라 존 자들로서 위대한 아라한이었다. 이 밖에 아직 배울 것이 있는 비구(有學)와 더 배울 것이 없 는 비구(無學) 2천 명도 함께 있었다. 또 마하 파시파제 비구니를 비롯한 6천 명의 비구니..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타천경 (부처님이 말씀하신 미륵보살의 도솔천탄생을 관찰하심) 이와같이 내가 듣사오니, 한 때에 부처님이 사위국이라는 나라의 기타태자의 숲 고독한 사람들에게 급식하는 장로의 절에 계셨다. 그 때에 세존께서 초저녘에 이르러 온 몸으로 광명을 놓으시니 그 빛이 금색이라 온 동산을 일곱겹으로 둘르고 둘러서 수달다의 집을 비추시되 또한 금빛이 되어 금색으로 광명이 나타나서 마치 안개와 구름가 같은 모양으로 사위국나라를 둘러 곳곳마다 금색연꽃이 비오듯 하고 그 광명가운데에는 한량없는 백천 거룩하신 부처님이 화하여 나타나사 모두 소리를 높여 말씀하시니 "이 가운데에 천이나 되는 보살님이 계셔서 제일 처음으로 불도를 이루실 부처님의 이름은 구류손불이요 가장 뒤에 이루실 부처님은 루지불이니라"라고 말..
미란다 팡하 Ⅰ. 서장 - 종교적 주제가 아닌 세속적 설화 - 옛날 유명한 수도 사아가라의 미란다 왕은 세계에서 저명한 현인 나아 가세나에게로 갔다. 마치 간지스강이 보다 깊은 바다로 흘러 들어 가듯 이. 담론에 솜씨 있는 왕은 진리의 햇불을 들고 마음의 어두움을 쫓아 버린 나아가세나에게 - 참과 거짓을 가려내는 - 여러가지 점에 대하여 미묘하고 어려운 질문을 했다. 이 질문에 주어진 해답은 듣는 이의 마 음을 기쁘게 하고 구를 즐겁게 하며 신기하고 오묘함을 느끼게 했다. 나아가세나의 담론은 수우트라경의 모든 그물코를 이루고 비유와 논증 으로 강하게 반짝이며, 비나야와 아비달마의 신비한 심연에까지 스며 들었다. 오라, 그대들이여, 와서, 그대의 머리를 빛나게 하고 그대의 마음을 기쁘게 하라. 그리고 모든..
옛날 왕사성에 한 장자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부상이라 했다. 그는 큰 부자여서 낙타와 나귀ᆞ코끼리ᆞ말이 산과 들을 덮었으며, 비단과 지주가 창고에 가득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준 빚도 그 수를 알 수 없을 만큼 많았다. 그는 말할 때는 언제나 웃음을 머금어서 인정을 거스리지 아니하고 육도 가운데서 한상 육바라밀을 행하였다. 그는 어느 날 갑자기 병이 들어 죽고 말았다. 그의 부부 두 사람은 오직 아들 하나를 기렀으니 그 이름은 나복이라고 했다. 그 아들은 아버지의 죽음을 보고 장례를 모시고 산소를 써 3년 동안의 복을 벗고나서 어머니께 여쭈었다. 아버님이 계실때는 돈과 재물이 한없이 많았으나 지금은 창고가 비게 되었읍니다. 제가 바라옵기는 돈을 가지고 외국으로 나아가 장사를 하고자 합니다..
正本首楞嚴經 卷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 시라벌성의 기환정사(祇桓精舍)에 계실 적에 큰 비구들 1천 2백 50명과 함 께 계셨으니 이는 모두 정기가 밖으로 샘이 없는 큰 아라한들 이니 부처님의 제자로 불법을 잘 보호해 나가면서 모든 유(有) 에서 훌륭하게 초월하였으며 국토에서 위의(威儀)를 갖추었으 며 부처님을 따라 법륜(法輪)을 굴리어 부처님이 유촉하신 것 을 충분히 감당할 만하며 계율을 엄숙하고 청정하게 지켜서 삼 계의 큰 모범이 되었고, 응신(應身)이 한량 없어 중생을 제도 하여 해탈하게 하며, 미래의 모든 중생까지 고난에서 구제하여 진루(塵累)에서 벗어나게 하는 분들이다. 그 이름은 큰 지혜를 지닌 사리불과 마하 목건련과 마하 구 치라와 부루나미다라니자와 수보리와 우바니사..
금강반야바라밀경강화 金剛般若波羅蜜經講話 운악학인 月雲 강술 法會因由分 第一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지수급고독원(紙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比丘)들 천 二백 五十 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 때 세존(世存)께서 밥때(食時)가 되자 가사(架娑)를 수하시고 바리때를 드시고 사위성(舍衛城)으로 들어가시어, 그 성안에서 밥을 비실적에 차례로 빌어 빌기를 마치시고는 계시던 곳으로 돌아오셔서 진지를 잡수시고 나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시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善現起청分 弟二 이 때 점잖은 수보리(須菩提)가 대중가운데 있다가 일어나서 오른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合掌)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稀有)하십니다. 세존(世存)이시여, 여래(如..
1. 중생구제 인연법회 1> 이와같이 내들었네 한--때에 세존께서 사위국의 기수급-- 고독원에 대비구들 천이백-- 오십인과 더불어-- 계시였네 그--때에 세존께서 공양때가 가까와서 2> 가--사을 입으시고 발우--를 들어시고 사위대성 들어가셔 음식을-- 빌으시네 빈부귀천 보지않고 평등하게 공양받아 기원정사 대중처소 되--돌아 오시었네 3> 받은공양 드시옵고 법의상징 황색가사 발--우를 걷두시고 수레바퀴 문양가진 덕의모양 갖추신,발 깨끗하게 씻으시고 사자좌에 자리펴고 단정하게 앉으셨네 2. 수보리의 법문요청 1> 그때장로 수보리가 대중속에 있었는데 자리에서 일어나서 오른어깨 드러내고 오른무릎 땅에대고 합장하고 공경하게 신과인간 스승이신 부처님께 사루시네 2> 선남자와 선여인이 위--없는 평등진리 깨달음을 ..
> 제1절 온갖 괴로움 건져주기 그때에 무진의 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부처님을 향해 합장하고 이렇게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무슨인연으로 관세음이라 부르나이까?"부처님께서 무진의 보살에게 말씀 하셨다. "선남자여! 만약 한량없는 백천만억 중생이 갖가지 괴로움을 당할적에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듣고 한 마음으로 그 이름을 부르면 관세음보살은 즉시에 그말을 관하고 모두 해탈케 하느니라.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니는 이는 혹 큰 불속에 들어가더라도 불타지 않을 것이니 이것은 보살의 신통력 때문이며, 혹 큰 물에 떠내려 가더라도 그이름을 부르면 곧 얕은 곳에 이를 것이며, 혹 백천만억 중생이 금,은,유리,자거,마노,산호,호박,진주등의 보배를 구하기 위해 큰 바다에 들어 갔을 때, 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