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잡아함경2권
- 관음경
- 잡아함경
- 신발을 잃어버리는 꿈
- 법화경 약찬게 (法華經 略纂偈 )
- 능엄경
- 무지경
- 법성게
- 목련경
- 경허선사 참선 노래
- 잡아함경 제3권
- 공덕경
- 의상대사
- 아침종송(鍾頌)
- 무상경
- 관세음보살보문품(원문)
- 般若心經
- 우리말천수경
- 신묘장구대다라니
- 금강경강화
- 정사유경
- 修心赋
- 보문품
- 극락세계 발원문
- 大父母恩重經
- 觀世音普薩普門品
- 법구경
- 한글천수경
- 천수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능엄경 (1)
Dreams to Days
능엄경
正本首楞嚴經 卷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 시라벌성의 기환정사(祇桓精舍)에 계실 적에 큰 비구들 1천 2백 50명과 함 께 계셨으니 이는 모두 정기가 밖으로 샘이 없는 큰 아라한들 이니 부처님의 제자로 불법을 잘 보호해 나가면서 모든 유(有) 에서 훌륭하게 초월하였으며 국토에서 위의(威儀)를 갖추었으 며 부처님을 따라 법륜(法輪)을 굴리어 부처님이 유촉하신 것 을 충분히 감당할 만하며 계율을 엄숙하고 청정하게 지켜서 삼 계의 큰 모범이 되었고, 응신(應身)이 한량 없어 중생을 제도 하여 해탈하게 하며, 미래의 모든 중생까지 고난에서 구제하여 진루(塵累)에서 벗어나게 하는 분들이다. 그 이름은 큰 지혜를 지닌 사리불과 마하 목건련과 마하 구 치라와 부루나미다라니자와 수보리와 우바니사..
자료모음 - 불교경전
2020. 8. 18. 08:20